본문 바로가기

중국역사/중국근현대사

(11)
[역사]워싱턴체제와 베이징정부 제1차세계대전 결과 열린 파리강화회의의 주된 관심은 유럽의 전후 처리와 국제연맹의 수립이었다. 즉, 동아시아·태평양 방면의 문제는 파리강화회의로 해결되지 않았던 것이다. 동아시아·태평양 방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산둥 이권이 일본에게 주어졌지만, 중국이 조인하지 않아 산둥 이권의 행방이 불분명했다. 둘째, 미국이 조약을 비준하지 않고 국제연맹에도 참가하지 않아 이후의 국제질서가 어떻게 편성될지 불명확했다. 셋째, 소비에트러시아(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 출범하기 전의 러시아이다)가 파리강화회의에 참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21년 미국의 워싱턴에서 국제회의가 열렸다(워싱턴회의). 이 회의에서는 그동안 미국이 제창하고 있던 중국의 영토보존, 문호개방, 기회균등의..
[역사]신문화운동과 5·4운동 신해혁명 이후 혼란스러운 중국의 상황 속에서 중국인들은 새로운 문화와 사상이 필요했다. 천두슈는 이러한 상황에서 신문화를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존 유교적 가치 체계를 부정하고 공격함으로써 새로운 문화를 건설하고자 했다(신문화운동). 그는 1915년 『청년잡지』(이듬해 『신청년』으로 개명했다)를 창간했는데, 이것이 '신문화운동'의 시발점이되었다. 신청년 그룹은 『신청년』을 통해 '민주와 과학'을 외치며 계몽운동을 전개했으며, 수많은 지식인들의 글을 『신청년』에 기고하여 신문화운동의 장을 만들었다. 1910년대 중국에는 다양한 사상이 소개되었다(그 중 하나가 공산주의이다). 이 시기의 새 사상을 이끈 곳은 베이징대학이었다. 1916년 차이위안페이가 베이징대학의 학장으로 부임했는데, 그는 이곳에 자유주..
[역사]돤치루이정권과 광둥정부 1916년 6월 6일 위안스카이가 사망하자 중국은 군벌할거시대로 접어들었다. 위안스카이에 이어 제2대 대총통으로 신해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리위안홍이 취임했다. 그는 위안스카이 정권하에서 제정한 중화민국약법을 폐지하고 임시약법을 부활시켰다. 또한 국회의 기능을 회복했다. 리위안홍은 군인 출신이기는 했지만 위안스카이처럼 독자적인 군대를 갖고 있지 않았다. 때문에 위안스카이의 뒤를 이어 북양군 2대세력이된 펑궈장과 돤치루이를 각각 부총통과 국무총리(행정부의 수반이다)에 임명했다. 이들은 각 성의 독자적 군대 통솔자인 군벌과 입장을 같이했다. 돤치루이는 기본적으로 중앙집권 국가를 구상하고 있었는데, 이는 국회를 회복시킨 리위안홍과의 대립을 야기했다. 중국의 제1차세계대전 참전여부로 둘의 대립이 심화되자(..
[역사]위안스카이와 베이징정부 위안스카이는 쑨원에게서 중화민국 임시대총통의 직위를 계승했다. 이때 쑨원은 임시정부를 난징에 둘것, 위안스카이가 난징에서 대총통 직위에 취임할 것, 임시약법(헌법의 역할을 대신했다)을 준수할 것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위안스카이는 임시대총통 취임식을 베이징에서 가지고, 중앙정부를 베이징에 두었다(베이징정부). 이튿날 11일에 위안스카이를 견제하기 위해 임시 참의원(혁명파)은 임시약법을 제정했다. 임시약법에서는 대총통의 권한이 약화되고 국회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또한 행정수반으로서 국무총리직을 신설했다. 하지만 대총통과 국무총리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점은 이후 중화민국 정치에 혼란을 초래했다. 한편, 혁명파에게 남은 길은 정당과 국회을 이용해 위안스카이를 견제하는 것뿐이었다. 쑨원과 쑹자오런을 주도로 중..
[역사]신해혁명과 중화민국의 수립 광서신정에 따라 청나라 내 교통의 요지에 철도망을 확대할 필요가 생겼다. 청나라는 의회제도에 부합하는 근대 통일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철도망을 정비하기 시작했다. 1911년 5월 청조정(황족내각)은 전국의 철도를 국유화하여 경영할 것을 공표했다. 하지만 철도 건설을 민간 자본을 통해 진행하고 있던 지방의 신사들은 철도 국유화 결정에 격렬히 반대했다. 이에 대해 후난, 후베이, 쓰촨, 광둥 등에서 자의국을 중심으로 철도 국유화 반대운동(보로운동)이 일어났다. 이러한 철도 국유화 반대운동 뒤에는 혁명파들의 움직임이 있었고, 쓰촨 각지에서 무장봉기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혁명파는 쑹자오런의 중국동맹회 중부총회를 중심으로 우창에서 무장봉기 준비에 들어갔다. 중국동맹회 중부총회는 지역단체와 함께 신군에게..
[역사]광서신정과 입헌운동 1901년 의화단전쟁으로 열강의 베이징 점령 후 시안으로 도망간 서태후는 어쩔 수 없이 새로운 정치를 추진하게 되었다. 이것이 광서신정(당시의 황제는 광서제이다)이다. 광서신정은 청나라 체제 전반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을 인정한 것으로 사실상 입헌군주제를 목표로 하는 캉유웨이의 변법자강운동과 똑같은 것이었다. 이렇게 시작한 광서신정은 서양식 군대인 신군의 창설을 통한 군사개혁, 과거제도 폐지 및 유학생 장려를 통한 교육개혁, 그리고 상부 및 상회 설치를 통한 상공업 위주의 경제발전에 중점을 두었다. 광서신정은 중앙정부 차원(보수파 관료 포함)에서 추진한 개혁이라는 점에서 변법자강운동과 차이점이 있었다. 광서신정은 19세기 후반까지 이어져 오던 전통적인 황제지배 체제의 기반을 근본적으로 뒤흔들었다. 광서신정..
[역사]쑨원의 혁명운동과 중국동맹회 1894~1895년에 전개된 청일전쟁의 패배는 청나라 국민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이는 정치적 변화의식과 민족주의를 본격적으로 출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청일전쟁 이후 변법자강운동으로 알려진 개혁 움직임이 일어났는데, 이와 비슷한 시기에 청조를 타도하고 공화제 국가를 건립하려는 혁명운동이 시작되었다. 혁명운동을 가장 먼저 실행에 옮긴 것은 쑨원이었다. 광둥성의 농민의 아들로 태어난 쑨원은 청년기에 하와이와 홍콩에서 서구적 교육을 받은 지식인이었다. 그는 혁명운동을 시작하기위해 1894년 흥중회를 조직하여 혁명운동의 토대를 닦았다. 그의 혁명방법은 두가지로 압축된다. 첫째는 반만혁명(만주족과 청나라를 배제하고 혁명을 이루자는 뜻이다)이고, 둘째는 변경혁명이다. 이는 해외화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고, 현지..
[역사]러일전쟁과 포츠머스조약 및 베이징조약 러시아가 만주반환조약을 이행하지 않는 가운데, 조선을 둘러싼 이해관계까지 맞물려 러시아와 일본 사이에 긴장이 높아졌다. 러시아의 이러한 행위는 중국보존, 기회균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미국의 문호개방정책과 영국의 중국분할정책에 어긋나는 것이었다. 결국 1904년 2월 일본의 선전포고로 러일전쟁이 발발했다. 전쟁 지역에는 만주와 조선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청과 조선은 어쩔 수없이 중립을 선언했다. 전쟁은 뤼순항전투, 제물포전투, 쓰시마전투 등을 거치며 일본의 승리로 기울었다. 1905년 러일전쟁은 미국(당시 미국의 대통령은 루즈벨트였다)의 알선으로 종결되었다. 러시아와 일본간의 강화교섭이 모색되자, 청나라도 참가를 희망했지만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결국 1905년 9월 5일, 미국의 포츠머스에서 강화조약이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