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세계대전 결과 열린 파리강화회의의 주된 관심은 유럽의 전후 처리와 국제연맹의 수립이었다. 즉, 동아시아·태평양 방면의 문제는 파리강화회의로 해결되지 않았던 것이다. 동아시아·태평양 방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산둥 이권이 일본에게 주어졌지만, 중국이 조인하지 않아 산둥 이권의 행방이 불분명했다. 둘째, 미국이 조약을 비준하지 않고 국제연맹에도 참가하지 않아 이후의 국제질서가 어떻게 편성될지 불명확했다. 셋째, 소비에트러시아(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 출범하기 전의 러시아이다)가 파리강화회의에 참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21년 미국의 워싱턴에서 국제회의가 열렸다(워싱턴회의). 이 회의에서는 그동안 미국이 제창하고 있던 중국의 영토보존, 문호개방, 기회균등의 내용을 포함한 원칙이 적용되었다(문호개방정책). 그 결과 9개국조약이 체결되었다. 9개국조약에서는 열강이 베이징정부를 중앙정부로 인정하고, 중국에 대한 열강의 협조주의가 결정되었다. 산둥 문제와 관련된 21개조 요구에 관한 사항은 9개국조약과 별도로 협의되었다. 협의의 결과 일본은 산둥의 이권을 중국으로 반환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조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산둥 문제를 제외하면 중국에서의 열강의 이권은 대부분 유지되었다. 단적인 예시로는 일본이 21개조 요구의 일부는 양보했지만 뤼순·다롄의 조차지를 끝까지 양보하지 않은것이 있다.
워싱턴회의로 형성된 중국에 대한 미국, 영국, 일본의 협조 체제를 가리켜 '워싱턴 체제'라고 부른다. 그러나 중국에서 워싱턴회의에 참가한 쪽은 베이징정부이며, 1920년대 초반에 점차 세력을 키우게된 광둥정부는 거기에서 제외되어 있었다. 또한 소련과 독일은 워싱턴 체제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워싱턴 체제는 미국, 영국, 일본간의 협조체제 였는지는 몰라도, 중국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국제 관계의 하나일 뿐이었다(중국이 소련과 독일과도 외교관계를 맺고있었기 때문이다).
# 참고자료
가와시마 신, 「중국근현대사2」, 삼천리, 2013
신성곤,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04
중국근현대사학회, 「중국 근현대사 강의」, 한울, 2019
'중국역사 > 중국근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신문화운동과 5·4운동 (0) | 2020.10.13 |
---|---|
[역사]돤치루이정권과 광둥정부 (9) | 2020.09.30 |
[역사]위안스카이와 베이징정부 (0) | 2020.09.29 |
[역사]신해혁명과 중화민국의 수립 (0) | 2020.09.29 |
[역사]광서신정과 입헌운동 (0)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