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역사/중국근현대사

[역사]위안스카이와 베이징정부

중화민국기(오색기)

 

위안스카이는 쑨원에게서 중화민국 임시대총통의 직위를 계승했다. 이때 쑨원은 임시정부를 난징에 둘것, 위안스카이가 난징에서 대총통 직위에 취임할 것, 임시약법(헌법의 역할을 대신했다)을 준수할 것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위안스카이는 임시대총통 취임식을 베이징에서 가지고, 중앙정부를 베이징에 두었다(베이징정부). 이튿날 11일에 위안스카이를 견제하기 위해 임시 참의원(혁명파)은 임시약법을 제정했다. 임시약법에서는 대총통의 권한이 약화되고 국회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또한 행정수반으로서 국무총리직을 신설했다. 하지만 대총통과 국무총리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점은 이후 중화민국 정치에 혼란을 초래했다.

 

한편, 혁명파에게 남은 길은 정당과 국회을 이용해 위안스카이를 견제하는 것뿐이었다. 쑨원쑹자오런을 주도로 중국동맹회는 1912년 3월 공개 정당으로 전환했으며, 8월에는 국민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13년 1월~2월에 실시된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당은 과반수 이상을 획득하며 압승했다. 그러나 국민당 내각의 성립을 꺼린 위안스카이는 그해 3월 쑹자오런을 암살했다. 이와 더불어 4월에는 국회를 통하지 않고 열강으로부터 차관을 받아냈으며(선후차관), 6월에는 국민당계 성 도독 3명을 파면했다. 이러한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에 반발하여 화중·화남의 여러 성들이 독립을 선언했지만(제2혁명), 위안스카이의 압도적인 무력에 의해 진압되었다. 신해혁명의 실패를 확인한 쑨원은 제2혁명 이후 일본으로 망명했다.

 

 

쑹자오런

 

1913년 6월 위안스카이는 국회에서 정식으로 중화민국 대총통에 선출되었다. 이후 위안스카이는 국민당을 해산시키고, 1914년 초에는 국회와 성의회까지 해산시켰다. 그리고 그해 5월 임시약법을 폐지하고 중화민국약법을 제정했다. 중화민국약법에서는 대총통의 권한이 강화되고 국회의 권한이 약화되었다. 1914년 12월에는 대총통 선거법을 개정해 대총통의 임기를 사실상 무제한으로 했다. 

 

                                                   칭다오의 전경(1910년)

 

한편, 유럽에서는 제1차세계대전(1914~1918)이 발발했다. 위안스카이는 제1차세계대전에 대해 중립을 결정했다. 신축조약으로 열강 군대의 국내 주둔을 인정한 중국은 자신의 영토에서 전쟁이 일어나는 것을 막아야 했다. 하지만 1914년 11월 일본은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산둥반도의 독일 조차지를 점령해 중국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했다. 사실상 일본은 칭다오, 지난을 포함한 산둥 동부 전역을 점령했다(점령기간은 약 7년이었으며, 1922년 워싱턴회의때까지 계속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은 중국 시장을 상대로 상품과 자본 수출을 확대하며 중국내의 경제적 영향력을 넓혀갔다.

 

1915년 1월 일본은 베이징정부에 대해 '21개조 요구'를 제출했다. 일본 측이 요구한 것은 산둥 반도에 대한 이권, 뤼순·다롄의 조차기한을 99년으로 연장(원래 1923년 중국에 반환), 남만주 및 내몽골의 일본 이권을 규정, 중국의 영토 보전과 타국에게 연안 항만과 도서 대여 금지, 일본인 고문을 중앙정부에 들일 것 등이었다. 일본은 이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시 군사행동으로 나아갈 것을 통보하기에 이른다. 결국 베이징 정부는 5월 9일 일본인 고문을 중앙정부에 들이는 것을 제외한 모든 요구를 수락했다. 그러나 베이징정부의 21개조 요구 수락은 국내의 지식인과 국민들로부터 격렬한 비판을 받았다.

 

 

칭다오를 포격하는 일본군

 

1915년 9월 위안스카이는 강력한 중앙집권화를 꾀하기 위해 국호를 중화민국에서 중화제국으로 바꾸고, 연호를 홍헌으로 정했다. 그리고 그해 12월 베이징에서 황제가 되었다(제제운동). 하지만 황제체제로의 복귀는 국내 정치세력으로부터 격렬한 반발을 받게되었다. 서남지역의 여러 성이 중앙정부에 독립을 선언하기에 이른것이다(제3혁명). 결국 위안스카이는 이듬해 3월 중화제국을 폐지했다. 이후 다양한 정치세력이 위안스카이의 대총통 사임을 요구하는 가운데, 1916년 6월 위안스카이는 지병으로 사망한다. 그의 사망은 중국내 정치 권력의 심각한 분열을 가져왔고, 군벌들이 할거하는 시대를 연출했다. 이는 신해혁명에 의해 추구되었던 민주의 분위기를 곧바로 가라앉게 하였고, 신해혁명에 참여했던 정치세력은 다시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청말 행정구역 및 주요도시

 

 

# 참고자료

가와시마 신, 「중국근현대사2」, 삼천리, 2013

신성곤,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04

중국근현대사학회, 「중국 근현대사 강의」, 한울, 2019